BOJ_9471_피사노 주기 (C++)
BOJ_9471_피사노 주기 (C++)
[Silver IV] 피사노 주기 - 9471
성능 요약
메모리: 8292 KB, 시간: 4 ms
분류
브루트포스 알고리즘, 수학, 정수론
제출 일자
2024년 12월 6일 16:24:49
문제 설명
1960년, IBM의 직원 Donald Wall은 피보나치 수열을 m으로 나눈 나머지가 주기를 이룬다는 것을 증명했다.
예를 들어, 피보나치 수열의 처음 10개를 11로 나눈 예는 다음과 같다.
n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9 | 10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F(n) | 1 | 1 | 2 | 3 | 5 | 8 | 13 | 21 | 34 | 55 |
F(n) mod 11 | 1 | 1 | 2 | 3 | 5 | 8 | 2 | 10 | 1 | 0 |
나머지를 이용해서 만든 수열은 주기가 나타날 수 있다. k(m)을 반복하는 부분 수열의 길이라고 했을 때, k(11) = 10임을 알 수 있다.
Wall은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성질도 증명했다.
- m > 2인 경우에 k(m)은 짝수이다.
- 임의의 짝수 정수 n > 2에 대해서, k(m) = n인 m이 항상 존재한다.
- k(m) ≤ m2 - 1
- k(2n) = 3×2(n-1)
- k(5n) = 4×5n
- k(2×5n) = 6n
- n > 2라면, k(10n) = 15×10(n-1)
m이 주어졌을 때, k(m)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P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는 N과 M으로 이루어져 있다. N은 테스트 케이스의 번호이고, M은 문제에서 설명한 m이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테스트 케이스 번호를 출력하고 k(M)을 출력한다.
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/**
* Author: nowalex322, Kim HyeonJae
*/
#include 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// #define int long long
#define MOD 1000000007
#define INF LLONG_MAX
#define ALL(v) v.begin(), v.end()
#ifdef LOCAL
#include "algo/debug.h"
#else
#define debug(...) 42
#endif
void solve() {
int n, m;
cin >> n >> m;
int first = 1;
int second = 1;
int third = (first + second) % m;
bool flag = false;
vector<pair<int, int>> pisanoPair;
pisanoPair.push_back({first, second});
while (!flag) {
third = (first + second) % m;
first = second;
second = third;
if (first == pisanoPair[0].first && second == pisanoPair[0].second)
flag = true;
if (!flag) pisanoPair.push_back({first, second});
}
cout << n << " " << pisanoPair.size() << "\n";
}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ptr);
int tt = 1; // 기본적으로 1번의 테스트 케이스를 처리
cin >> tt; // 테스트 케이스 수 입력 (필요 시)
while (tt--) {
solve();
}
return 0;
}
This post is licensed under
CC BY 4.0
by the author.